• 엠버서더 활동
  • Ambassadors Activity
  • Article Home > Ambassadors Activity > Article
Byway of Heritages 문화재의 뒤안길(5부)
작성자 : 송원규 작성일 : 2020-07-01조회수 : 30

Byway of Heritages-Small bell from three dynasties

 

Only small bell in three dynasties dug from Gaya tomb

 

"Wow, look at this!"

 

Digging up Busan Bokchun-dong 22th tomb, done in 1980~1982, archaeologists screamed finding a bronze bell.

 

Because even though there has been bronze bell in Gojoseon era, there were none in three dynasties, especially Gaya.

 

Many old Gaya tombs have been dug up since 1970s, but the value of 'Childuryeong' dug up in Bokchun-dong tomb has never been broken.

 

It is a heritage used by leader of Gaya in 4~5th century. They made it by melting bronze, empty inside, and made body and 7 bells, wooden handle plucked.

 

Trying X-ray projection, small and clean rocks were found in some bells.

 

We were curious about the sound, but it was enough to think about Gaya leader showing off his power swinging this bell that made very clear sound.

 

'Childuryeong'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2019 of its unique appearance in East Asia, and value as a heritage that represents Gaya culture.

 

We still await for another 'treasure' that would unclose the mystery of Gaya.

 

 

 

 

 

 

 

 

 

 

 

 

 

 

Byway of Heritages-Ingwangno

 

About 135 years ago, King Gojong spread Taegeukgi and made it a national flag and established Gigichang in Samchung-dong.

 

It was the time when learning western stuff and communicating with then was a an assignment of the era, one foreign was collecting things that we used.

 

He never cared about the kind; plates, clothes, hat, utensil, etc. It was useless for us back then. But some of them are ours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world.

 

Of course, they are still kept in our old books.

 

After more than 130 years, 'New stuff' and 'Indifference about the old' has been disappeared. But in Germany, 6 InGwangno survived even from the bombing during WWII.

 

It is a collection of Mollendorf, unlucky government official during Korean Empire.

 

It was not a presonal collection but a systematic one under the principle of German museum. Mollendorf send them to Germany four times with lists. What Germans were ahead of was the system for collecting and administering heritages.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is their way of seeing other people.

If they had eyes of discrimination, they would see stuffs as useless for the people living life of developed civilization.

 

Detailed stuff of Korea were collected by Mollendorf, and is safely kept in Leipzig Grasi Museum.

 

 

 

 

 

 

 

 

 

 

Byway of Heritages-Seokgatap

 

Age of Heritages varies from 50 to more than a thousand years. Its status is of course not good, and we still take great effort to sustain their historical, artistic, academic value. By this, disaster like earthquakes are threat to them, but sometimes these disasters add up their value.

September 3rd, 1966, grave robbers broke in Bulguk palace.

 

Their purpose was to steal Sarira Reliquary, expected to be held in Seokgatap. But the pagoda was firm.

 

They ran only ruining the pagoda.

 

Later, urgent repairment was decided.

 

While repairing many heritages including 'Mugojunggwangdaedaranigyung', the oldest wooden print, was uncovered. Chunk of paper wrapped inside silk were soaked from a long time, making it unable to recover that time.

 

2007, 40 years later, its preservation treatment completed. It wrote that this pagoda started building in 742, completed in 765~780, repaired in 1024, almost broke down from an earthquake in 1036, but was repaired again.

 

Disaster(robbery) made us figure out knew new historical fact.

 

Later, Seokgatap went into another repairment from 2012 to April of 2016.

Then September,2016, earthquake magnitude of 5.8 happened in Gyeongju.

There were some damages but not Seokgatap.

Because of earthquake the central axis were fixed better then before.

 

Are heritages weak?

 

Living up to more than a thousand years, they may be stronger than we have ever thought.

 

 

 

문화재의 뒤안길-삼국시대 방울(서울경제, '19.10.11)

 

가야고분서 나온 삼국시대 유일의 방울

 

, 이것 좀 봐요!”

 

1980~1982년 진행된 부산 복천동 22호분 발굴 당시, 흙 속에 파묻혀 있던 청동방울을 발견하는 순간 고고학자들은 이런 탄성을 질렀다고 한다.

 

이유는 고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청동제 방울은 여러 점이 알려져 있으나 삼국시대, 특히 가야시대 유물로는 당시까지 발견된 사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부터 김해 대성동 고분, 고령 지산동 고분 등 옛 가야의 고분들이 속속 발굴됐지만 복천동 고분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유일한 방울 칠두령(七頭鈴)’의 위상은 아직 깨지지 않고 있다.

 

청동칠두령은 4~5세기 가야의 최고 수장급이 사용한 유물이다. 청동을 녹여 속이 빈 상태로 본체와 7개의 방울을 만든 형태다. 자루에 나무로 손잡이를 끼워 사용했다.

 

보물 지정조사를 하면서 엑스선 투과시험을 해보니 일부 방울 안에서 작고 매끈하게 정돈된 돌들이 확인됐다.

 

소리가 어떨지 매우 궁금했지만 가끔 구르며 청동표면에 부딪힐 때 나는 경쾌한 소리가 이 방울을 흔들며 권력을 과시했던 가야 수장의 모습을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은 동아시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독특한 형태, 가야시대 의례와 공예문화를 대표하는 유물로서의 가치가 인정돼 3월 보물 제2019호로 지정됐다.

 

베일에 싸인 왕국으로 불린 가야의 신비로움을 벗기고 실체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줄 또 다른 보물이 기다려진다.

 

 

 

 

 

 

 

 

 

 

 

문화재의 뒤안길-인광노(서울경제, '19.10.18)

 

135년 전쯤. 젊은 왕 고종은 태극기를 전국에 반포해 국기로 하고 삼청동에 기기창을 설치했다.

 

일본처럼 서양의 것을 배우고 교류하는 것이 시대적 과제로 여겨지던 그 시절. 파란 눈의 외국인은 우리가 쓰던 물건들을 모으고 있었다.

 

우리가 쓰던 그릇이며 옷·모자·필기구, 심지어 성냥까지 종류를 가리지 않는 듯했다. 당시 우리에게는 하찮았던 것들. 그러나 그중에는 이제 세계 어디서도 보기 힘든 우리의 것이 있었다.

 

물론, 기록의 민족인 우리의 옛 책들에는 남아 있다.

 

1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새로운 것옛것에 대한 무관심에 이 땅에서 자취를 감췄지만, 지구 반대편 독일 땅에서 2차 세계대전의 폭격에서도 인광노(引光奴) 여섯 묶음은 살아남았다.

 

대한제국 비운의 관리 목인덕(穆麟德, Paul George von Mollendorf)의 수집품이다.

 

개인적인 수집이 아닌 당시 독일 박물관의 지침에 의한 체계적 수집이었고 목인덕은 이를 착실히 수행해 네 차례에 걸쳐 목록과 함께 본국에 보냈다. 그들이 우리보다 앞섰던 것은 유물 수집과 관리에 대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다른 민족을 보는 눈이 아니었을까 한다.

 

차별의 눈을 가졌더라면 당시 첨단 문명을 누리던 그들에게 하찮게 보였을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차이의 눈으로 본 한국의 세세한 물건들이 고스란히 목인덕에게 수집돼 독일 라이프치히 그라시 민속박물관에 잘 보존돼 있다.

 

 

 

 

 

 

 

 

 

 

 

문화재의 뒤안길-불국사 삼층석탑(서울경제, '19.10.25)

 

문화재의 나이는 적게는 50, 많게는 1,000년이 넘는다.

당연히 상태는 좋지 않고, 그것이 지닌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오늘도 우리는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때문에 지진과 같은 재난은 문화재를 위협하는 적이지만 때론 이런 재난이 뜻하지 않게 가치와 신비를 더해준다.

 

196693, 일단의 도굴꾼들이 불국사에 침입했다.

 

그들의 목적은 국보 제21호 불국사 삼층석탑 안에 안치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장엄구였다. 그러나 석탑은 단단했다.

 

이들은 석탑만 훼손시킨 채 도망쳤다.

 

이후 긴급해체 수리가 결정됐다.

 

해체 도중 금동사리함과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비롯한 많은 유물이 수습됐다. 비단에 싸인 채 발견된 종이 뭉치는 오랫동안 습기에 젖어 당시 기술로는 처리가 어려웠다.

 

40년이 지난 2007년에서야 보존처리된 이 종이뭉치에는 이 석탑이 742년에 지어지기 시작해 신라 혜공왕대(765~780)에 완성되고, 1024년에 해체수리됐다가 1036년에 일어난 지진으로 무너질 뻔했으나 다시 수리됐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도굴이라는 재난 때문에 우리가 미처 몰랐던 새로운 유물의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됐다.

 

이후 불국사 삼층석탑은 2012년부터 20164월까지 다시 해체수리를 거쳤다.

 

그런데 20169, 규모 5.8의 강한 지진이 경주에서 발생했다.

 

적잖은 석탑들의 부재가 움직이고, 목조건물의 기왓장이 떨어지는 등 피해가 컸지만 불국사 삼층석탑은 달랐다.

 

수리 당시 기초에 남아 있던 중심축의 흔적을 면밀히 고증해 탑을 재조립했는데, 지진 진동으로 인해 더 정확하게 부재 간 중심축이 맞춰졌다.

 

문화재는 약하다?

 

아니, 오히려 천년을 넘게 살아남은 것을 보면 문화재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강할 수도 있겠다.

 


이전글 \'햄버거병\' 발생 안산 유치원, 1년 넘게 놀이터 바닥 소독 한번도 안 했다.
다음글 TTT 흑인이 수영장에 있어요..경찰 부른 호텔 직원 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