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엠버서더 활동
  • Ambassadors Activity
  • Article Home > Ambassadors Activity > Article
Child Birth in Joseon 조선시대 출생 이야기
작성자 : 212 이민영 작성일 : 2022-01-18조회수 : 113

 

[ Child Birth In Joseon ]


212기 이민영

 

 

Slaves Also Had Maternity Leave?

노비에게도 출산 휴가가 있었다고?

 

The Joseon Dynasty was a strict class society. The highest rank was the royal family, followed by yangban, middle class (those who work professionally, such as doctors and interpreters), common people and servant. The Joseon Dynasty was divided into Gwannobi, government servants working in palaces and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Sanobi working in private noble houses. Also, a female servant working in government office is called 'Gwanbi'. Before King Sejong, official maternity leave was only 30 days. Since 30 days is a 30-day after giving birth, pregnant servants(Gwanbi) had to do their part as a government official. Also, after giving birth, they worked without being completely healed. One day, King Sejong saw a pregnant servant(Gwanbi) who was working hard, and also saw a servant who was having a hard time working just after giving birth. Sejong felt sorry for them and thought it was necessary to reform the maternity leave system. After that, he changed his maternity leave to 100 days after giving birth and gave him 30 days before giving birth. As a result, the official was able to get 130 days of maternity leave. I also gave the official's husband about 30 days of leave. The reason is that, according to Sejong chronicles(世宗實錄), not giving her husband enough vacation is against the morals of the couple.

 

조선 시대는 엄격한 신분 사회였어요. 가장 높은 계급으로 왕족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양반, 중인, 평민 그리고 노비가 있었어요. 조선시대는 궁궐, 중앙관청에서 일하는 관노비와 사적인 양반 집에서 일하는 사노비로 나누어졌어요. 또한 관청에 소속외더 있는 여자 종을 '관비'라고 불러요. 세종대왕 이전까지, 관비의 출산 휴가는 단지 30일밖에 되지 않았어요. 30일도 출산 후 30일을 쉴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만삭인 몸으로 관비로서 자신의 역할을 했어야 했어요. 또한 출산 후 완전히 몸이 낫지 않은 상태로 일을 했어요. 어느 날, 세종이 만삭인 몸으로 힘들게 일하는 관비를 보았고 또 출산한지 얼마 안 되어 일하여 힘들어하는 관비를 보았어요. 이들에 안타까움을 느낀 세종은 관비의 출산 제도를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출산 후 휴가를 100일로 바꾸었고 출산 전 30일을 주었어요. 이에 따라 관비는 130일의 출산 휴가를 얻을 수 있었어요. 관비의 남편에게도 약 30일 정도의 휴가를 주었는데요. 그 이유는 세종 실록에 따르면 남편에게 충분한 휴가를 주지 않는 것은 부부의 도리에 어긋나는 일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출처: YTN news (조선시대의 출산휴가), 역사채널e –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업적

 

 

< Learn more J >

Let's learn more about Nobi(servant). Servants in Joseon were regarded as property of the state and of individuals, and they did many things for their masters. Servants belonging to the state or government offices were called Gongnobi, and servants belonging to individuals were called Sanobi. In addition, Gongnobi, servants working in public office were subdivided into Seonsangnobi and Nabgongnobi. Seonsangnobi were servants who provided labor directly with living in the government office, while Nabgongnobi paid tribute to the government office by farming, etc. without living in the government office. And in the Joseon Dynasty, even if only one of the parents was a servant, the child was unconditionally a servant. For example, if the father was a nobleman and the mother was a servant, their sons and daughters were servants. When did servants exist in Korea? It is not known exactly when the Korean servant system existed. However, when you see that Gojoseon had a law that says, "A person who steals other people's belongings is made a slave of the house," and in Buyeo, there is a law that "The murderer's family is made a slave.", you can see that there has been a slave system since a very long time ago.

 

노비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노비는 나라와 개인의 재산으로 여겨졌으며, 주인을 위하여 여러 가지 일을 했습니다. 국가나 관청에 소속된 노비를 공노비, 개인에게 소속된 노비를 사노비라고 했어요. 또한 공노비는 선상노비와 납공노비로 세분화되었어요. 선상노비는 관청에서 직접적인 노동력을 제공하는 노비였고, 납공노비는 관청에서 일하지 않고 농사 등을 하여 관청에 공물을 납부하는 노비에요. 그리고 조선 시대에서는 부모 중 한 명만 노비여도 자식은 무조건 노비가 되었답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양반이고 어머니가 노비이면, 그들의 아들과 딸은 노비였어요. 노비제는 언제부터 있었을까요? 한국의 노비제가 어느 때부터 존재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어요. 하지만 고조선에는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라는 법률이 있고, 부여에는 "살인자의 가족은 노비로 삼는다"라는 법률이 있는 것을 보았을 때 엄청 오래된 과거부터 노비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어요.

출처: 어린이백과-조선 시대 신분 제도 / 조선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공노비의 의무

 

 

 

Textbook Of Prenatal Education In Joeseon, Taegyosingi

조선 시대의 태교 지침서, 태교신기[胎敎新記]

 

Taegyosingi is a textbook for prenatal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produced by the Sajudang Lee family in 1800 and Yuhui, Korean scholar translated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Sajudang Lee famil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educate the fetus from the time it was in the mother's womb. Through this book, you can know that Joseon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prenatal education. Also it is systematically written about theories and practical aspects of prenatal education. Do you want to know more about prenatal education? The prenatal period consists of 10 chapters. There are many stories such as the mother's attitude, behavioral problems, and help from her family. Let's take a brief look at the contents of the prenatal period.

"For 10 years,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er's teaching is the mother's 10-month prenatal education, and the overnight, father's teac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mother's 10-month prenatal education" :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natal education.

"Avoid loud music, songs, and loud market noises" :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tability

"Everyone in the family should be careful. Don't let the pregnant woman hear bad things." : Importance of being careful not to get stressed.

These contents are very similar to modern prenatal education. Isn't it very surprising that such a specialized prenatal guide was written in the Joseon Dynasty, when science was not as advanced as today?

 

태교신기는 조선시대 임산부 태교법 교습서이에요, 1800년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가 제작하였으며, 1801년 아들인 한글학자 유희(柳僖)가 한자로 적힌 책의 모든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았어요. 이 책을 제작한 이유는 사당 이씨는 태아가 엄마 배 속에 있을 때부터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이 책을 통해 일이 태교의 중요성을 깨달았음을 알 수 있으며, 태교에 관한 이론과 실제 모습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어요. 태교신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띾요? 태교신기는 전체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아기를 가진 어머니의 마음가짐, 처신의 문제, 가족들의 도움 등 여러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데 태교신기의 궁극적으로 태교는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하고 남편의 역할이 그중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지요. 태교 신기의 내용을 간단히 살펴볼게요.

"10년 동안 스승의 가르침보다 더 중요한 것이 어머니의 10달 태교이고, 어머니의 10달 태교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하룻밤, 아버지의 가르침이다" : 태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요.

"귀로 듣는 것은 삼가라. 요란한 음악과 노래, 시장의 시끄러운 소리 등을 삼가라" : 시끄러운 소음을 조심하라고 말하고 있어요.

" 한 가족 모두 조심해야 한다. 임산부가 흉한 일을 듣게 하지 말라. 두려워하면 정신이 병든다" : 임산부가 스트레스를 갖진 않도록 조심하라고 말하고 있어요.

이러한 내용은 현대 의학과도 매우 유사해요. 오늘날처럼 과학이 발달하지 않은 조선시대에서 이러한 전문화된 태교 지침서를 작성한 게 매우 놀랍지 않나요?

출처: YTN 사이언스 – 조선시대에도 태교 지침서가 있었다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태교신기. 역사채널e - 태교신기

 

< Sejong chronicles >

The king Sejong said,

"In the old days, when servants gave birth to a child in a government house, it was required to serve seven days after childbirth. They worry about working without taking care of the baby. I think it is more better to give another 100 days of vacation after childbirth.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y gave birth before they arrive at their home soon because they got tired for their work. Why don't we exempt them(pregnant servants) from one month's work before child birth? So, order the presentation office to enact a law on it."

 

임금이 대언(代言) 등에게 이르기를,

"옛적에 관가의 노비에 대하여 아이를 낳을 때에는 반드시 출산하고 나서 7일 이후에 복무하게 하였다. 이것은 아이를 버려두고 복무하면 어린 아이가 해롭게 될까봐 염려한 것이다. 일찍 1백 일 간의 휴가를 더 주게 하였다. 그러나 산기에 임박하여 복무하였다가 몸이 지치면 곧 미처 집에까지 가기 전에 아이를 낳는 경우가 있다. 만일 산기에 임하여 1개월 간의 복무를 면제하여 주면 어떻겠는가. 가령 그가 속인다 할지라도 1개월까지야 넘을 수 있겠는가. 그러니 상정소(詳定所)에 명하여 이에 대한 법을 제정하게 하라.

출처: 세종실록 50, 세종 12 10 19일 병술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10019_006

 


 


이전글 50분간 통화한 미·러 정상…바이든 \"우크라이나 침공시 대응\" (TTT)
다음글 Child birth of Joseon Dynasty(Sinbang, Taesil, Samsinsang)/조선시대 출생(신방, 태실, 삼신상)
300기 이서하 태교 지침서 이야기 정말 재미있네요. 2022-01-22
301 김민서 노비에게도 출산휴가가 있었다는게 신기했어요 2022-01-30
297 성시연 모르던 내용을 많이 알게 되어 좋아요 202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