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엠버서더 활동
  • Ambassadors Activity
  • Article Home > Ambassadors Activity > Article
'Saji' Traces in the Margin, 사지, 여백 속 충만한 흔적
작성자 : Breanna Subin O 작성일 : 2020-04-02조회수 : 258
첨부파일 downfile1585800501.docx

글 확인이 불가하다 하셔서 재업로드 합니다.

 

 

사지(寺址), 여백 속 충만한 흔적

 

‘Saji’; Traces in the Margin

 

There are many reasons why Daegaram, who once once prospered, remains an empty ground. In many cases, they have suffered the devastation of war or have been lost due to unexpected fires. On the other hand, they could not adapt to the changed situation, and in some cases, the prose may be closed and self-destruction may occur. There are not many outstanding sights or sights to admire, even if they are famous historical sites designated as Seongjusaji Temple, Hwangryongsaji Temple, Mireuksaji Temple, and Jeongnimsaji Temple. In ‘Saji (temple site)’, neither the bell nor the sound of the monks' voices were heard in the morning and evening. The image of Goseung Daedeok sitting on a bridge and preaching axioms isn’t found, and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Buddhists, who flocked like clouds under the lanterns on the day of ‘Choppil (the day of Buddha’s birth)’, have been cut off. That's it. Beomjonggakdo, which was full of Buddhist temples, and magnificent ornate carvings that enshrined bodhisattva also disappeared into the ages, leaving only the cornerstone.

 

| 01, 02. It is true that even the most famous temples, such as the wooden pagoda site of the Hwangryongsa Temple in Gyeongju (Historic Site No. 6), cornerstone of the Three Buddha, and the Hwangryongsa Temple site, eye-catching views are few and there are many empty places. However, there is an element that is inspiring to these sites.

 

 

 

 

 

 

Resonance a Vacent Site Gives

A man whose heart is destitute and dry is likely to enjoy everything only by scratching the surface. They are not reluctant to ask what they are supposed to enjoy in ‘Saji’ which has no splendid structures or a breathtaking sight. Even when they appreciate flowers, they would just drink and sing under the flower tree, not being moved by it even an inch, only when it has fully bloomed. They don’t dare try to have a contemplative view over the sight. When the flower withers, they say that there is no more to enjoy and doesn’t think of coming back. I believe ‘Saji’ is a place like this.

 

It is true that ‘Saji’ has more of empty space rather than objects that catch your eyes. But inside that, there are factors that touches your heart, and there is an enchantment that makes people lost in meditation. While strolling around ‘Saji’ you unknowingly fall into thoughts such as times you have forgotten, or questions about nature and life. This is an unexpected present and an unconventional lesson that the ‘Saji’ gives you.

03, 04. Historic Site No. 301 Buyeo Jeongrimsaji is the site where the central temple of the period of the Baekje moved to Buyeo was. (538 ~ 66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aji’ in first sight is lonesome and forlorn. This silence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quietness from the beginning. It is more likely to use the stillness of a marketplace after a whirl of customers, hollowness of a winter sea with its crowd gone like a low tide, and serenity of a farm after harvest as a metaphor for ‘Saji’. The solitude of it is trail of a figure which has done all its wind of change returning to the state of nothingness.

 

Even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who were not pleased of Buddhism sometimes enjoyed the pleasure ‘Saji” gave. They would feel traces of time or indulge in reminiscence having a bleak headstone in sight. Some would find profound and mysterious parts of their minds and hearts within the desolate atmosphere. That state of mind was where the creeds of Confucian and Buddhism met, so it wasn’t necessary for the scholars to feel repulsion because of their religions. “Passing the site of Baeknamsa Temple” by Im Jae(林悌,15491587), and “Gosahe(Site of an old temple)” by So Dusan(蘇斗山, 1627~1693) are the representative work of the scholars of that time.

 

 

 

 

Space Like Oriental Painting’s Margin

The blank part of the oriental landscape painting is called margin. Margins are in a different level with just spaces. If the space is a word that explains total emptiness like a blank white paper, the margin is the state of profound and mysterious existence. It has no form but is filled with something indescribable. A blank is nothing more or less than empty, but a Margin is existent and nonexistent at the same time. It is something invisible and visible. The sign of the margin is a medium that help you guess something happening. This sign can be comprehended by what is seen: in landscape painting it is a mountain or water or a tree, which we can find all of these in the ‘Saji.’

 

Vacant ground of the ‘Saji’ is is an intangible trace of what was forming a "complete whole." Since it is was not empty from its start, the vacant region is the same as the margin of landscape painting. The mystic atmosphere filling the margin is not what we can see with naked eye. Because of this, people easily conclude there is nothing. But it’s not always that way. If you are in a dark room full of objects, it doesn’t mean that the room is empty just because you can’t see anything in it. When the light shines, things that seemed dark and invisible comes out to the light. The headstones, shafts, stairs, and everything you can see works as lanterns. Using these traces as lamps to illuminate the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reveals the reality of things that were not seen one by one.

 

05. Jungwon Mireori limb. From the top, the statue of Maitreya Buddha, Seokdeung, Five-storied Pagoda, Stone Turtle, and Danggan Jiju are placed in a straight line at the temple. There is a small three-story pagoda at the entrance of Hanuljae. Korean Folk Art Research Institute

 

 

 

The Gone Told by the Remains

Everything that forms ‘Saji’ exist in mysterious occlusal stat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So what is invisible can be seen from what remains. For example, the size of the pagoda,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standing position can give an idea of where the main area of the temple is and how large the main temple was. The size of the stone pagoda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main pagoda, as can be seen from the existing ‘Daeram’ and the small and medium-sized temples. This means that the larger the tower, the larger the scale of the temple, and the smaller the tower, the smaller the scale of the temple. Knowing that the tower and the temple are in balance and harmony, the remaining tower reveals the figure of the disappeared temple.

 

The same goes for other cases. The rough moss-covered ‘Goseung Daedeok's Budo (pagoda preserving relics of the Buddhaor monks)’ tells how high the status of the temple was, and the number of Budo proves the long history of Buddhism. The number of headstones left on the site of the Yossache tells how many monks lived in this temple, and the stonework made by digging a large stone reveals that this temple was the site of many feasts and events. Stone ornaments, such as lions, dragons, and ‘Gareungbinga (an imaginary bird with sweet notes)’, left over everywhere, shows the religious passion and depth of faith of Buddhists who tried to make the temple a Buddhist land.

 

After the ruins, the long period of time that passed “Saji’ cut down the high and filled the low, seeking an equilibrium. It rounded and dulled angular and sharp debris, made the half-embedded headstone look like a natural stone, and raised braken and ferns in the cracks of the broken stone. Under every trace of ‘Saji’ such as the pagoda, budo, tower monument, plinth, stairs, pillars, decorative stone statues, and roof tiles, is the rule of time and causality.

 

Time is meant to flow, but in some ways the time of the ‘Saji’ is still. The place where the pagoda stands now remains the same as it was a thousand years ago, and the position of the ‘Gwibu(turtle shaped headstone stand)’remains the same. The sight of the front yard has not changed, and the direction of the sunlight shining on the stone stairs remains the same. The pagoda lost the dazzling golden decoration, but all movements were removed, revealing the form of eternity, and the lost ‘Gwibu’ seems to be saying that the evert law and order has no original form and no location.

 

If you look at things with contemplative eyes, the underlying reality is revealed, and when you look back at yourself in a withdrawing state of silence, the nature will be revealed. If you treat everything with this mind and attitude the pain and anguish that come from reality and obsession will disappear. Sgaramudr-samdhi (海印三昧) was called. At ‘Saji’ you can feel the state of desolation, in which the calm seawater illuminates all things like a mirror. There are few visible but many implications in ‘Saji’ where the remnants of old glories and ruins coexist.

 

 

-Translated from the article "사지(寺址), 여백 속 충만한 흔적from "Munhwajaesarang"(monthly history&culture magazine made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ritten by HeoKyun, director of Korean Folk Painting Research Institute

-Translated by Breanna Subin Oh (Daeil Foreign Language Highschool, YCC 127th)

 

 

 

 

 

 

 

 

 

 

 


사지(寺址), 여백 속 충만한 흔적

작성일;: 2019-07-30

 

빈터가 주는 울림

마음이 가난하고 메마른 사람은 모든 것을 표면적으로 즐기는 버릇이 있다. 그들은 화려한 전각도 없고 경관이 아름답지도 않은 사지에서 무엇을 보고 즐길 것인가 반문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꽃을 보는 데도 개화가 절정에 달할 때를 기다려 달려가 마음에 사무치는 감동도 없이 꽃나무 아래서 술 마시고 노래 부르고 하여 계절 변화나 전체 분위기를 아울러 보는 관조(觀照)가 없다. 눈으로만 보고 즐기는 사람들은 꽃이 다 지고나면 구경할 게 없다 하여 그곳을 두 번 다시 찾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사지도 그런 곳이라 믿는다.

 

사지에는 눈길을 끌 만한 것이 적은 반면 빈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는 무언가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요소가 있고, 사람을 명상에 잠기게 하는 마력(魔力)이 있다. 사지를 이곳저곳 둘러보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지금까지 잊고 살았던 시간이라든가 자연이라든가 인생이라든가 하는 문제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되는데, 이것은 사지가 던져주는 의외의 선물이자 색다른 교훈인 셈이다.

 

 

사지의 첫인상은 적적하고 쓸쓸하다. 그런데 이 분위기는 태초의 원초적 적막과는 다른 것이다. 사지의 고적함은 난장을 치르고 난 장터 오후의 공허함과 같은 것이요, 원색 인파가 민물처럼 빠져나간 겨울 해변의 허전함과 같은 것이며, 타작소리 끝난 가을 들판의 고요하고 잠잠한 것과 같은 것이다. 사지를 감도는 고적함은 변화와 움직임을 다한 후 무()의 상태로 돌아가는 회귀의 자태이자 원본으로 귀의한 후의 여운과 같은 것이다.

 

불교를 탐탁지 않게 여겼던 조선의 유학자들도 때로 사지가 주는 감흥에 젖곤 했다. 그들은 옛 사지에서 묵은 자취를 더듬어보기도 하고, 황량한 비석을 보고 지난 일을 회상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사지의 고적한 분위기 속에서 회귀의 자태를 자각하고 마음의 묘처를 찾기도 했다. 그러한 경지는 성리학이 불교와 만나는 지점이기도 했기 때문에 선비들은 종교적 거부감 같은 것은 느낄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임제(林悌,1549∼1587) <백남사 절터를 지나며>, 소두산(蘇斗山, 1627~1693) <고사허(古寺墟)> 등 조선 선비들이 남긴 시에 사지의 감흥이 잘 표현돼 있다.

 

 

 

산수화의 여백과 같은 빈터

동양 산수화 화면에서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은 부분을 여백이라 한다. 여백은 공백과 차원이 다른 것이다. 공백이 아무것도 없는 흰 종이처럼 텅 비어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라면 여백은 실체가 없으면서도 그 무엇으로 충만되어 있는 묘유(妙有)의 기색(氣色)이다. 공백은 비어 있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만 여백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며, 보이는 것도 아니고 보이지 않는 것도 아닌 신묘한 그 무엇이다. 여백의 기색은 어떤 현상이나 모습 따위가 일어나거나 있는 것을 짐작케 해주는 낌새다. 이 낌새는 보이는 것에 의해 파악되는데, 산수화에서는 산이나 물이나 나무이고, 사지에서는 남아 있는 것들이다.

 

사지의 빈터는완전한 전체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의 무형의 흔적이다. 원래 텅 빈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지의 빈터는 산수화의 여백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여백에 충만된 묘유의 기색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거기에 아무것도 없다고 쉽게 생각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방 안에 가득 찬 물건들이 깜깜해서 보이지 않는다 해서 그곳에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등불을 비추면 어두워서 보이지 않던 것들이 홀연히 나타난다. 사지의 탑, 주춧돌, 축대, 계단 등 모든 보이는 것들이 등불과 같은 존재다. 이들을 등불 삼아 사라진 것들을 비추면 보이지 않던 것들의 실상이 하나둘씩 드러난다.

 

 

 

남아있는 것이 말해주는 사라진 것

사지의 모든 것은 유·무형의 오묘한 교합상태로 존재한다. 그래서 남아 있는, 즉 보이는 것에 기초해서 보이지 않는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불탑의 규모와 층수와 서 있는 위치를 보면 이 절의 중심 영역이 어디인지, 주불전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현존 대가람과 중·소규모 사찰들을 봐서 알 수 있듯이 석탑의 크기와 주불전의 크기는 비례한다. 이것은 탑이 크면 불전 규모도 크고, 탑이 작으면 불전의 크기도 작다는 의미다. 탑과 불전이 균형과 조화를 이룬다는 점을 알고 남아 있는 탑을 보면 사라진 불전의 모습이 드러난다.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다. 거친 이끼 덮인 고승대덕의 부도는 이 절의 위상이 얼마나 높았는지를 말해주고 있으며, 부도의 수는 전등(傳燈)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요사체 터에 남은 주춧돌의 수는 얼마나 많은 수도승들이 이 절에서 생활했는지를 알려 주며, 커다란 돌을 파서 만든 석조(石槽)는 이 절이 수많은 잔치와 행사를 치렀던 대찰임을 알게 해준다. 곳곳에 남은 사자, , 가릉빈가 등 석조 장식물들은 사찰을 불국토로 조성하는 불자들의 종교적 열정과 믿음의 깊이를 드러내고 있다.

 

폐허 후 사지를 거쳐간 장구한 세월은 높은 것은 깎아내리고 낮은 곳은 채우면서 수평을 지향했다. 모나고 날카로운 파편을 둥글고 무디게 만들었고, 반쯤 묻힌 주춧돌은 자연석처럼 보이게 했으며, 허물어진 석축 틈새에는 고비, 고사리가 자라게 했다. 불탑, 부도, 탑비, 주추, 계단, 축대, 장식석상, 기왓장 등 사지에 남은 모든 것들의 뒤에는 오랜 시간과 인과(因果)의 법칙이 내장돼 있다.

 

흐르는 것이 시간이라지만 어떻게 보면 사지의 시간은 멎어 있다. 지금 불탑이 서 있는 자리는 천 년 전과 변함이 없고, 귀부의 위치는 처음 그대로다. 좌향(坐向)도 달라진 게 없고, 석계에 비추는 햇살 방향도 그때 그대로다. 불탑은 현란한 상륜(相輪)을 잃었지만 모든 움직임이 제거된 영겁의 형()을 드러내고 있고, 비신을 잃은 귀부는 만법이 원래 정해진 형상과 주처(住處)가 없음을 말해주는 듯하다.

 

수도자들의 염불과 독경소리가 계곡에 가득했고, 사부 대중들의 공양미가 산처럼 쌓여 있던 대가람이 지금은 이렇게 스산하고 쓸쓸하고 고적한 빈터로 변해 있다. 어제의 영화와 오늘의 폐허 사이에는 무량대수의 인연과 긴 세월의 작용이 있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 긴 세월이라는 것도 영겁의 시간에 비하면 찰나에 불과한 것이다. 그래서 둘 사이에는 선후의 구별이 없다 할 것 이니, 영화와 폐허도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당초부터 함께 있었던 것이 아닌가?

 

관조의 눈으로 사물을 보면 그 근원적 실체가 드러나고, 침잠의 상태에서 나를 돌아보면 본성이 드러난다.이런 눈과 마음으로 만사를 대한다면 현실과 외형 집착에서 오는 고통과 번민이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해인삼매(海印三昧)라 했던가. 고요한 바닷물이 만상을 거울처럼 비추는 적멸(寂滅)의 경지 같은 것을 사지에서 느낄 수 있다. 옛 영화와 폐허의 잔영이 공존하는 사지에는 보이는 것은 적으나 함축은 많다.

 

 

. 허균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

 


이전글 264기 정보경 해설 대체활동입니다.(2) - 측우기
다음글 Life may change for us all’: How we respond to the coronavirus crisis will be defining, historians say/ 우리가 코로나바이러스에 어떻게 대응하냐가 우리의 인생이 어떻게 바뀔지를 정의한다고 역사학자들이 말한다.